본문 바로가기
건강 스피치

간에 좋은 음식_ 토마토, 부추(정구지), 가지, 청국장, 복숭아

by 서리니 2017. 9. 14.
반응형

간에 좋은 음식_ 토마토, 부추(정구지), 가지, 청국장, 복숭아



최근 20년사이 한국인의 암발병률과 성인병의 증가 원인중 하나로 '서구화된 식습관'이 큰 원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수구화된 식습관을 최대한 절재하고 자연재료를 이용한 좋은 음식들을 많이 먹는 것이 간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과 건강을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간은 한번 상하면 자연회복이 굉장이 어려운 장기인것은 물론, 신체 작용의 거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기이므로 각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은 체내로 흡수된 알콜이나 니코틴과 같은 각종 유해물질을 해독하고 체외로 분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등 

해서 오늘은 간에 좋은 음식으로 대표적인 5가지 식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하나. 토마토 _ 간세포를 재생하는 각종 비타민의 기능


이미 슈퍼푸드로 인정받고 있는 토마토,, 물론 간에 좋은 음식으로도 으뜸으로 소개해 드릴 수 있는데요,

토마토에는 간이 세포를 재상하는데 필요한 비타민이 굉장히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미 세계 10대 슈퍼푸드에 선정될 만큼 그 효능이 이미 확실히 입증되어 있는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티오니트의 일종인 리코펜이라는 성분은 암과 동맥경화등의 여러가지 성인병에 도움이 될 뿐만아니라, 이 성분은 신진대사와 이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돕는 좋은 기능까지 있습니다.


또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중 루틴이라는 핵심 요소가 있는데요 이 성분은 혈압을 낮추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각종 혈관에 관련된 질병을 개선하는데 좋은 기능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토마토는 당뇨와 피부미용, 노화방지에도 좋은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둘. 부추(정구지)의 각종 비타민 효과


경상도 방언으로 정구지라고도 하는 부추는 3월에서 5월 사이가 제철인데요, 부추는 아주 선명한 녹색을 띄고 반지르한 윤기가 있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매콤한 맛의 부추는 차게 먹지만,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음식으로 비타민A, B1, C등이 풍부한 비타민 외에도 칼슘과 철분등의 다양한 무지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건강식입니다, 특히 부추(정구지)는 독소를 해독하고, 간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간에 좋은 음식으로 이미 정평이 나 있는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추(정구지)는 통풍을 예방하고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따뜻한 성질이 신체내의 온기를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간 이외에도 위와 장등의 소화기간에도 좋은 효능이 있습니다.




셋. 가지_  나수닌과 댈피니딘 성분


가지에는 안토시아닌의 일종인 나수닌과 델피니딘이라는 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는데요, 항산화 작용이 있는 이런 성분들은 간의 해독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효소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간기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해 줍니다.




넷. 청국장_ 항암 물질인 제니스테인 성분


한국 전통의 구수한 향의 청국장에는 비타민K,B2, 바실러스 섭탈리스균, 레시틴, 제니스테인, 천연인슐린 등이 매우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요, 이중에서도 특히 제니스테인이라는 성분은 항암물질로 잘 알려진 것으로 실제로 많은 전문의들이 항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여러 암과 관련된 질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청국장을 권유하기도 하는 굉장이 좋은 항암실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다섯. 복숭아_ 구연산 피로회복 기능


복숭아는 예부터 우리 선조들이 즐겨먹던 간기능 개선 식품입니다.

복숭아에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연산이라는 간에 매우 좋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굉장이 좋은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복숭아에는 유해 물질을 해독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간의 부담을 덜어주는데 큰 역할을 하는데요, 특히 간경화를 가진 환자에게 복부 팽창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좋은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