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스피치

신경매독(Neurosyphilis), 잠복기와 임상증상

by 서리니 2017. 11. 26.
반응형

신경매독(Neurosyphilis), 잠복기와 임상증상

 

 

 

 

신경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의 중추신경계의 침범을 뜻하는데요, 매독에 감염된 후 3~18개월 사이에 Treponema pallidum균이 중추 신경계를 침입하여 발생되며, 요즘에는 매독의 초기에 항생제를 투약하여 매독이 치료되기 때문에 신경매독의 발병률은 현저히 낮아지고 있습니다.

 

 

 

 

 

 

 

신경 매독의 임상증상으로는 침범된 부위 및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감염된 후 첫 수년간은 증상이 거의 없고, 뇌척수액의 단백 농도가 증가하거나 백혈구가 증가하고, 매독반응 검사에서 혈청 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정도 입니다.

 

 

 

 

수막혈관의 신경매독은 매독의 초기 감염후 6~7년 후에 나타나며 병소는 국소적이지만 점차 뇌수종으로 인한 뇌압 상승,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뇌신경 증상 및 뇌 자체의 매독균 침범으로 인한 증상이 반현되게 됩니다.

뇌혈관의 신경매독에서는 뇌혈관 섬유증과 혈관의 폐색이 오며 뇌혈관의 위치에 따라 실어증과 반신마비 등이 올 수 있습니다.

매독 감연후 10~20년 후에 오는 말기형 신경매독에서는 뇌실질 조직이나 척수를 침범하는 형태와 마비성 치매가 있습니다.

 

 

 

 

 

매독의 치료로는 페니실린의 투약에 효과가 있으며 외과적 요법등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