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경매독(Neurosyphilis), 잠복기와 임상증상
신경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의 중추신경계의 침범을 뜻하는데요, 매독에 감염된 후 3~18개월 사이에 Treponema pallidum균이 중추 신경계를 침입하여 발생되며, 요즘에는 매독의 초기에 항생제를 투약하여 매독이 치료되기 때문에 신경매독의 발병률은 현저히 낮아지고 있습니다.
신경 매독의 임상증상으로는 침범된 부위 및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감염된 후 첫 수년간은 증상이 거의 없고, 뇌척수액의 단백 농도가 증가하거나 백혈구가 증가하고, 매독반응 검사에서 혈청 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정도 입니다.
수막혈관의 신경매독은 매독의 초기 감염후 6~7년 후에 나타나며 병소는 국소적이지만 점차 뇌수종으로 인한 뇌압 상승,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뇌신경 증상 및 뇌 자체의 매독균 침범으로 인한 증상이 반현되게 됩니다.
뇌혈관의 신경매독에서는 뇌혈관 섬유증과 혈관의 폐색이 오며 뇌혈관의 위치에 따라 실어증과 반신마비 등이 올 수 있습니다.
매독 감연후 10~20년 후에 오는 말기형 신경매독에서는 뇌실질 조직이나 척수를 침범하는 형태와 마비성 치매가 있습니다.
매독의 치료로는 페니실린의 투약에 효과가 있으며 외과적 요법등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건강 스피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종류와 진단기준 (0) | 2018.01.22 |
---|---|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 임상증상과 치료 (0) | 2018.01.02 |
뇌농양(Brain abscess)_ 감염성 신경계 질환, 원인과 증상 (0) | 2017.11.20 |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 (0) | 2017.11.14 |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증상과 원인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