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스피치

주나라 사마천 사기의 구성과 내용및 주요 업적

by 서리니 2017. 9. 27.
반응형

주나라 사마천 사기의 구성과 내용및 주요 업적


주나라시대 벼슬에 오른 관인의 신분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놀림거리가 되고 치욕까지 견디면서 아버지와의 약속과 자신의 신념을 위해 완성하려고 했던 <사마천 사기>는 분량만으로는 총 130권에 달하며 기록의 역사는 상고시대의 황제부터 자신이 살았던 시대까지 방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마천 사기, 사기 구성, 司馬遷




사마천은 자신의 집필의도에 대해 <사기>의 서문(序文)인 자서(自序)에서 역사서인 "춘추"를 기록한 공자의 의도가 과거의 옳고 그름을 이정표삼아 군주와 신하가 인간으로서의 규범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춘추"가 예와 의의 근본이라고 정의하고 사마천 자신의 의지를 빗대어 표현하면서도 "춘추"와는 달리 정사(正史)를 기록하면서 신하의 도리를 다하고 아버지의 유언을 지키기 위함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마천 사기"는 그 구성에서 [ 오제(五第) : 소호(少昊), 전욱(顚頊), 제곡(帝穀), 요(堯), 순(蕣) ] 새대부터 역대 왕조를 시대별로 구분한 본기 12권, 연대를 기록한 표(表) 10권, 벌률과 제례, 문화사 등을 기록한 서(書) 8권, 황제를 받들던 제후들을 기록한 세가(世家) 30권과 시대의 꽃으로 피었다 사라진 영웅들을 기록한 열전(列傳) 7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마천 사기"는 말 그대로 역사서라고 할 수 있지만 단순한 기록을 뛰어넘어 풍부하게 인물을 묘사하는 등의 문학적인 요소를 많이 갖추고 있으며, 특히 열전에 기록된 영웅들의 생생하고 결단있는 행적의 기록은 문학 이상의 가치를 전하고 있습니다.


사마천 사기, 사기 구성, 司馬遷



사마천이 궁형을 받고 절망에 빠졌을때는 감옥에서 용기를 얻었던 전국시대 초나라의 문인인 '굴원'의 이야기는 "사기"의 굴원열전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학문이 높으며 식견이 뛰어난 굴원은 초왕의 신임이 매우 두터웠던 만큼 시기가 항상 따라 불행한 삶을 산 사람이었는데 초나라의 희왕의 측군에서 주요 요직을 담당하면서 법령을 만들고 있을때에는 그의 상관이 찾아와 미처 완성되지 못한 법령을 왕에게 가져가려하자 굴원은 거절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그의 상관이 왕에게 찾아가 굴원을 모락하자 왕은 그 말을 믿고 결국 굴원을 추방하게 됩니다.

굴원은 시집 "초사(楚辭)를 통해 우국충정을 토로했으며 굴원이 추방당하고도 나라를 위해 여러 차례 충언을 하였지만 희왕은 그의 말을 듣지 않아 결국 진나라의 계략에 의해 죽음을 맞았던 것입니다.




사마천 또한 굴원의 충성심과 안타까움을 자신으 저술을 통해 세상을 깨우치려 노력을 하였는데, 여러 열전을 통해 등장하는 인물들은 그 신분에 상관없이 자신의 신념과 충정을 위해 목숨을 내 놓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입니다.

또한 재치 있는 현인들의 사례를 짚어보면서 어리석음과 탐욕을 멀리하라 하고 있습니다.



사마천 사기, 사기 구성, 司馬遷




아무리 지혜로운 이야기도 역사의 사실이 전하는 교훈을 능가할 수 없듯이, 자신의 불행을 극복하고 저술한 사마천 사기를 통해 자칫 잃어버릴 뻔한 역사를 기록한 것은 물론, 후대가 잊지 말아야할 교훈까지 되세겨 주는 문학의 훌륭한 유산으로 남아있습니다.

반응형